애를 잘 키울 수 있을까요?
임신에 대해 고민하고 결정하는 과정에 ‘아이를 잘 키울 수 있을까’ 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환자인 엄마(아빠)가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위로부터 받을 수 있는 도움은 어느 정도인지, 환자는 양육 과정에서 증상으로 인해 어떤 경험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양육 시 조현병 환자의 경험
환청이나 망상 같은 양성 증상은 실제 상황에 대한 판단을 어렵게 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우유에 독이 들 어 있다” 라는 환청으로 인해 아이에게 수유를 하지 않는다거나, “나는 중요한 국정원 요원으로 북한에서 내 아이를 해치려 한다” 는 망상으로 인해 아이를 보호하기 위해 옷장
속에 숨겨두는 등의 상황입니다.
음성 증상으로 인해 환자는 에너지가 없고 일을 시작할 동기가 생기지 않아 아이를 돌보지 않고 방치하거나, 하루 종일 방에 누워 있으면서 아이가 울어도 달래 주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집중력의 저하와 같은 인지 증상으로 양육에 어려움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아이의 학교 과제를
도와주고 싶지만 집중이 안되어 어려워 한다거나, 아이와 함께 장을 보러 갔다가 아이를 잊고 두고 오기도
합니다.
보호자가 환자의 양육을 돕는 방법
도움이 되는 경우
ㆍ환자가 하는 양육의 장점을 찾아 이야기 해주기.
ㆍ환자가 하는 양육의 단점을 찾아 도와주기.
ㆍ환자가 도움 요청할 때에만 도움 주기.
ㆍ환자가 좋은 부모가 되고자 하는 마음은 좋은 치료 동기로 삼아 자신의 증상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
ㆍ환자가 할 수 있는 기회 뺏기.
ㆍ환자가 하는 양육의 단점만 지적하기.
ㆍ환자가 스스로 하기만을 기대하기.
산정특례가 병원비를 줄여 주나요?
산정특례는 장기간 치료에 따르는 과도한 치료비 부담을 경감시켜주는 제도로서 특정 질환에 한해 개인 부담금을 줄여주는 제도입니다. (본인 부담률이 40% -> 10%)
또한, 산정특례제도를 받는 경우, 타과 진료 시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및 개인 정보 내역은 조회되지 않고, 단순히 산정특례 수혜 여부만 조회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으면, 운전 면허를 딸 수 없나요?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사실을 고지하면, 담당의사는 면담 및 몇가지 검사를 통해 운전 가능 여부를 결정, 법적으로 운전면허 취득 및 갱신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진료 기록이나 자료는 공개되나요?
병원에서 환자의 진료 사실에 대한 정보제공 요청이 왔을 때는 의사는 환자의 동의를 묻지 않고, 법원의 요구에 응해야 합니다. 그러나 보험회사, 경찰, 변호사, 검찰 등의 요청 시, 환자의 동의 없이 정보제공을 할 수 없습니다(14세 미만의 경우, 보호자와 본인의 동의가 필요합니다.)